EXHIBITIONS

M'cube

아트 오브젝트로서의 그림책

김지민

2017.11.08 ~ 2017.11.26
M’cube는 새로움에 대한 열정으로 실험적 영역을 탐구하고 그 한계에 도전하는 영아티스트를 발굴ㆍ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M’cube is a program to discover and support young artists who explore experimental territories with a passion for novelty and challenge their limits.

ABOUT

김지민

 




김지민 Jimin Kim

한국에서 영문학을 공부한 뒤 일러스트레이터로 활동 중 영국으로 유학, 킹스턴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일러스트레이션 석사과정을 공부했습니다. 졸업 작품으로 만든 책, 하이드와 나 (Hyde & Seek)가 한솔수북에서 출간되었고, 현재 두번째 책, The Seven Hours Itch를 핸드바인딩 아티스트 북으로 출간하였습니다.

Jimin Kim is a Seoul-based a picture book artist, print maker and illustrator. She enjoys making a narrative and embodying it in a format of a picture book. Currently she is making her book in Seoul n after just graduating from Kingston University with a Communication Design: MA Illustration course. Now she is focusing on making picture books with her original etching prints and wants to introduce the concept of artist book to the public as an artwork as itself.


김지민의 그림책

그림책이라는 장르는 그림과 글의 경중이 따로 없다. 내러티브 자체가 곧 형식이 되기도 한다. 단순히 책의 컨텐츠에 맞는 그림 스타일 자체를 말하는 게 아니라 내러티브 자체가 책의 형식, 오브젝트, 물성으로서의 형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뜻이다. 그런 것에 관심이 많다. 그림책으로만 보여줄 수 있는 어떤 형식이 있다고 본다. ‘하이드와 나’가 그 구현을 위해 노력했던 작품이다. 책이라는 것은 2D라는 지면 위에 글과 그림을 새기지만 ‘하이드와 나’ 같은 경우는 세워 놓을 수도, 접을 수도, 또 펼칠 수 도 있는 책이라는 물성을 극대화시킨 3D 오브젝트로 완성되길 바랐다. 나의 테마를 그림책 그 자체의 물성으로 함축해내는 그런 작업을 하고 싶었고 그게 그림책의 매력이라고 생각한다. 이렇게 책의 물성의 아름다움을 더 고려하게 된데는 출판시장의 축소와 변화가 나에게도 큰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한다. 지난 수년간 사람들이 더 이상 책을 읽지 않고 사지도 않는다는 우려섞인 목소리를 끊임없이 들어왔다. 현시점으로 볼 때, 책이라는 매체의 양적으로의 진화에 대해서는 회의적이지만, 앞으로의 책은 이전의 시대보다는 다양한 형식의 책을 즐기려는 독자들을 위해 진화할 것이라 생각한다. 그중 한 줄기가 책의 내용과 더불어 물성의 아름다움을 강조하는 복고적 경향이다. 과거의 책은 대중적인 매체가 아닌 귀한 존재로 오래 보존하기 위해 가죽으로 씌우는 등 고급 장정의 책이 많았다. 요즘은 과거와 같은 의미는 아니지만 오브젝트 그 자체로 아름다운 책을 소장하고 싶은 욕구를 가진 독자층이 분명히 있고, 『하이드와 나』는 내용을 떠나서 이런 독자들을 위해 디자인부터 제책의 과정까지 세심하게 고려된 책이다. 앞으로도 어린이 책과 아티스트북 작업을 병행하며 내용과 형식이 아름답게 조화된 그림책을 계속 만들고 싶은 바램이 있다.

Picturebook of Jimin Kim

There is no priority between graphics and text in the genre of picture books. The narrative itself right away becomes a format as well. It means that the narrative itself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book, object, physical property, rather than merely saying the style of the picture suitable for the content of the book. I have been interested in such things. I think there are some forms that can only be shown with picture books. ‘Hyde and Seek’ is the product that a serious endeavour had been made for the implementation of this idea. I tried to create a 3D object that maximizes the physical properties of a book, such as ‘Hyde and Seek’ which can be set up, folded, or stretched, while a book can be engraved with text and pictures on a 2D surface normally. I wanted to do such a work that implies my theme as the physical matter of picture book itself, and I think that it is the biggest appeal of a picture book. Add to this, the shrinkage and the change in the publishing market had been a profound influence on me. Over the past few years, I have been told concerned voices about the publishing market that people do not read books nor buy any more. Although it seems rather obvious that the quantitative evolution of a medium as a book is sceptical at the moment, I believe that the books of the future will evolve for readers who want to enjoy various types of books rather than the previous eras. One of them is a retro trend that emphasizes the aesthetical value of the material along with the contents of the book. The book of the past was not a popular medium, but a precious item, so it had often been covered with pricey materials such as leather or silk for long preservation. Nowadays, it is not the same thing as the past, but there are indeed readers, who desire to own a beautiful book as an object itself in other ways. ‘Hyde and Seek’ is the book that is carefully considered from the design to the process of the book to be binding for these kinds of sophisticated readers. Lastly, I hope to communicate with readers more often with my books that are beautifully harmonized in content and style in the future.


어워드 리스트
2017 ‘BIB 브라티슬라바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 비엔날레’ 황금 사과상 수상
2017 나미 국제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 콩쿠르’ 퍼플 아일랜드 상 수상
2016 영국 ‘AOI 월드 일러스트레이션 어워드’ 북카테고리 신인상과 함께 신인 최고상 수상

List of Awards
2017 ‘Golden Apple Award’ from ‘BIENNIAL OF ILLUSTRATIONS BRATISLAVA’
2017 ‘Purple Island award’ from 'Nami Island International Picture book Concours'
2016 Book category and the Overall New Talent Winner from 'AOI World Illustration Awards' in UK.


프로필
2017 일본 ‘도쿄 아트 북 페어’ 참가
2017 하이드와 나( Hyde & Seek) , ‘브라티슬라바 일러스트레이션 비엔날레’ 황금사과상 수상
2017 서울 일러스트레이션 페어 참가
2017 미국 샌프란시스코 ‘코덱스 북 페어’ 참가
2017 갤러리 사각형, 프리 플레이 전시
2017 하이드와 나( Hyde & Seek) , 한솔수북에서 출간
2017 하이드와 나( Hyde & Seek), ‘나미 국제 그림책 콩쿠르’ 에서 퍼플 아일랜드상 수상
2016 일러스트레이션 페스타, 두성페이퍼 갤러리 전시
2016 AOI 월드 일러스트레이션 어워드, 런던 서머셋 하우스 전시
2016 AOI 월드 일러스트레이션 어워드, 북카테고리 신인상과 신인최고상 수상
2015 런던 일러스트레이션 페어 참가
2015 영국 킹스턴 대학교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일러스트레이션학과 석사 졸업

Profile
2017 Participation in ‘Tokyo Art Book Fair 2017’ in Terada warehouse,Tokyo, Japan
2017 ‘Hyde & Seek’ has won the Golden Apple Award from ‘BIENNIAL OF ILLUSTRATIONS BRATISLAVA’
2017 Participation in Seoul Illustration Fair 2017
2017 Participation in ‘THE CODEX BOOK FAIR 2017’ in SAN FRANCISCO, USA
2017 Exhibition Of FREE_ PLAY_PRESS in GALLERY SAGAKHYUNG in SEOUL
2017 Hyde & Seek has been published by HANSOL SOOBOOK PPUBLISHING CO. in South Korea.
2017 Hyde & Seek have won the Purple Island award from Nami Island International Picture book Concours
2016 Illustration Festa, Doosung Paper Gallery, Seoul Korea
2016 AOI Illustration Awards exhibition, Embankment East Galleries, Somerset House, London
2016 Winner of Overall New Talent and Book category for ‘Hyde &Seek’ From AOI World Illustration Award
2015 Participation in ‘THE LONDON ILLUSTRATION FAIR 2015’ in OXO TOWER/ SOUTH BANK
2015 Graduation from Kingston University with a Communication Design: MA Illustration

INSTALLATION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