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밝은곳에 서있다
Lee Kiyoung
M’VOID is a program that plans and presents exhibitions of leading artists at home and abroad who question contemporary aesthetic values while strengthening their works with insights.
ABOUT
전시서문
생성으로 향하는 여정
불연속적 평면
눈앞에 하나의 평평한 회화면이 있다. 더 정확하게 말하면 평평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실은 여러 겹의 석회칠 위에 올려진 먹을 지워간 흔적과 그 위를 뒤덮은 여러 층의 바니시를 다시 직선으로 파내고 안료로 채워진 평평함이기에 불연속적 면이다. 익히 잘 알고 있는 상감기법이 사용되었다. 우리 앞에 그 화면 속 어떤 것도 재현을 의도하고 있지 않다. 먹의 흔적과 여러 색선은 무엇인가를 닮지 않았고 어떤 환영을 일으키려는 목적도 갖고 있지 않다. 다만 긴 시간 속 일어났던 과정들의 흔적을 품고 있을 뿐이다.
생동
2016년 개인전을 앞두고 만났던 작가 이기영은 자신의 작품세계가 자연에서 출발하였으나, 지우기라는 행위를 통해 작품이 작가에 의해 형성되는 단순한 대상이 아닌, 작가 주체와 보다 밀착된 무엇이고자 했고 그렇게 ‘먹꽃’ 연작이 탄생하였다고 설명하였다. 그리고 그 당시 개인전에서 소개된 작품들은 한 단계 더 나아가 먹꽃의 형상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물로 지우고, 다시 지워내며 많은 것을 비워내었기에 영도(zero)에 다가가려는 행위의 결과물로 보였다.
9년 후 다시 만난 이기영의 작업은 이제는 존재와 부재, 질서와 자유, 구조와 해체의 조화로움으로 (또는 긴장으로) 향하고 있었다. 이러한 방향 전환에 따라 작가의 행위, 즉 수행성은 더욱 강화되어 있었다. 다시 그의 작업의 평면을 분석해보자. 그는 감정을 일으키는 순간에 이끌린다. 과거의 기억에서 출발하여 먹으로 쓰거나 그려내고 그것을 다시 손으로 지우면서 어떤 감정이 촉발될 때 몸의 동작을 멈춘다. 이 바탕 작업은 이후 정교한 본 작업 단계로 넘어간다. 작가의 계산된 구상을 바탕으로 여러 개의 색선을 만들게 되는데, 직선을 파내어 안료를 채워넣는 상감기법을 적용한다. 무수한 사포질을 통해 표면은 완전히 연속적인 하나의 면처럼 보이게 된다. 이 본 과정은 생각보다 훨씬 더 세밀함을 요구하기에 신체가 자아내는 긴장감이 작품에 내재하게 된다. 그 선들은 바라보는 위치마다 다르게 보일 수 있도록 정확하게 계획된 위치와 색을 갖고 있다. 관람자가 작품에서 얼마만큼의 거리를 갖는냐에 따라 작품은 계속해서 다른 모습으로 변화하는데, 색선들은 정지된 화면이 아니라 작품이 ‘기운생동’의 구조를 갖도록 고려된 중요한 요소들이다.
열린 변증법
이번 전시에는 이와 같은 방식의 작업들이 20여 점이 소개되는데, 이 작품들에는 질서와 자유, 구조와 해체 같은 대립항이 존재한다. 그리고 그 과정을 통해 절대적 상태로 나아가는 것으로 보인다. 이 대립항들은 서로를 배제하지 않고, 오히려 긴장감을 유지한 채 공존한다. 이 긴장은 화면을 정지된 이차원적 결과물이 아니라, 끊임없이 생성되는 과정으로 전환시킨다. 이러한 과정은 변증법적 운동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하나의 구조(正)가 화면을 형성하면, 곧 그것은 해체(反)로 향한다. 그러나 두 힘의 흔적은 새로운 합(合)으로 모여진다. 그러나 이 합은 고정된 조화가 아니라, 다시 정과 반의 단계를 거쳐 다른 합으로 나아가는 열린 변증법이다. 이기영의 작품은 헤겔의 정반합을 연상시키면서도, 매번 새롭게 생성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그의 화면은 선형적 발전이 아니라, 반복 속에서 차이를 낳는 유동적 종합과 같다. 그리거나 써진 무엇인가는 지워지고, 파내어진 부분은 다시 채워진다. 감정을 불러일으키기 위한 자유로운 신체 행위의 흔적 위에는 계산되고 긴장감을 머금은 직선이 기하학적 질서를 부여한다. 그러나 그 모든 행위는 평평함, 즉 하나의 평면으로 귀결된다. 그렇다면 여기서 애써 만들어진 평면은 무엇을 의미할까? 여러 단계의 수행적 수고스러움에는 어떤 의미가 얹어질 수 있을까?
절대적 상태로서의 평면
평면은 오히려 입체보다 고정된 현상을 벗어나 자유롭게 상상할 수 있는 가능성을 잠재하고 있다. 평면은 앞서 언급한 것처럼, 절대적 상태이다. 없음, 즉 무로 향하는 것처럼 보이는 변증법적 과정은 실은 생성의 살아있는 단계에 도달하게 한다. 삶이 결국은 생성에서 소멸로 가는 것처럼 보이지만, 삶의 긴 여정 속에 우리는 무한히 많은 새김과 흔적을 남겨 놓는다. 기쁨과 슬픔, 성공과 실패, 만남과 이별 등 인간이 갖게 되는 여러 사건과 감정 그리고 관계와 기억은 개인의 신체와 인간 존재가 거주하는 세계에 각인된다. 이기영의 작업은 정과 반을 거쳐 합에 이르는 과정 속에 만들어지며 그렇게 만들어진 작업의 결과물인 평면 속에 여러 불연속적 면이 있듯이, 최종적인 부재가 곧 존재이며, 소멸이 곧 생성인 것이 곧 삶의 원리임을 깨닫게 해준다.
정소라(서울시립미술관 학예연구부장)
Journey Toward Creation
Discontinuous Surface
Before our eyes lies a single flat
pictorial surface. Perhaps more precisely, it appears to be flat. In truth,
however, it is a discontinuous surface where flatness is constructed: the
traces of ink disappear into the successive layers of lime wash, followed by
the linear incision of multiple layers of varnish on top, and filled with
pigment for a texture. It is a well-known inlay technique. The surface before
us is devoid of any intention to represent. Neither the traces of the ink nor
the chromatic lines resemble anything, and they don’t seem to purpose an illusion.
They simply hold the vestiges of processes that have unfolded across a long
passage of time.
Saengdong:
Life in Motion
When I first met Lee Kiyoung in 2016, he
explained to me the genesis of his renowned Black Flower series, that
his works, while originating from nature, became somewhat of a personal object
through the techniques he applied. In other words, the works transcended being
mere objects and became a part of the artist himself. Indeed, the works
submitted to his solo exhibitions around that time appeared to have remained
faithful to such descriptions: the traces of ‘black flowers’ were washed away
with water, erased again and again, until emptied of much, approaching what
would be called a state of ‘zero’.
When I revisited his works 9 years later, I
found out that his works were oriented toward the harmony – or tension –
between presence and absence, order and freedom, structure and deconstruction.
This shift has only intensified the artist’s performativity in practices. Let
us take this observation to analyze his surface again – he seems to be drawn to
moments of emotion. He begins from a memory in the past to write or draw with
ink, and erases his work until he finds a certain emotion. Then he stops. This
groundwork then transitions into a more deliberate phase of making. Guided by
calculated composition, the artist creates several colored lines, employing an
inlay technique to inscribe straight lines and filling them with pigment.
Through countless sanding, the surface comes to appear as one seamless,
continuous plane. This process demands precision far greater than expected, the
physical tension of the artist’s body becomes embedded in the work. The lines
are meticulously located and colored so that they appear from different
perspectives. Because of this characteristic, the work continuously changes its
image depending on the distance that the viewer takes. These colored lines are
essential elements that allow the artwork to contain a sense of ‘gi-un saeng-dong’,
a life force in motion.
Open Dialectic
This exhibition presents about twenty works
produced in such a manner. We find binary oppositions of order and freedom, or
structure and deconstruction among them. It is through the retained tension
between these binary opposites that let them co-exist, and ultimately let the
works that contain them move forward to an absolute state. The tension shifts
the works from being a static, two-dimensional product to an ongoing process of
creating. We may understand this process in terms of dialectic. If the
structure that forms the surface is our thesis, the process of erasure and
emptying is our antithesis. The traces of these forces on the surface gather
into the synthesis. This synthesis, however, is not a fixed harmony; it
proceeds once again through thesis and antithesis toward another synthesis,
forming an open dialectic. Lee’s works are reminiscent of Hegel in this sense,
though his process repeats itself within the dialectical framework. In this
sense, Lee’s surface is not a linear progression but a fluid synthesis,
producing difference within repetition. What is written or drawn will be
erased, and what is inscribed will be filled; on top of the traces of bodily
movements that attempt to evoke emotions lie linear lines with tension, ever so
calculated and carefully thought out, and eventually impose a geometric order.
Yet, all these gestures ultimately resolve into flatness, into a single
surface. What, then, does this painstakingly constructed surface signify? What
meaning can be ascribed to the laborious, performative steps that bring the
surface into being?
Surface as an Absolute State
Unlike the popular misconception that the
two-dimensional is more fixed than the three-dimensional, the plane holds great
potential for free imagination. As the text has maintained so far, a plane is
an absolute state. The dialectical process that seems to move toward absence,
toward nothingness, in fact leads us into a living stage of becoming. Life,
too, may appear to proceed from generation toward extinction; yet along its
long journey, we leave behind innumerable traces and inscriptions. Joy and
sorrow, success and failure, encounters and partings – all such events,
emotions, relationships, and memories of human existence become etched upon the
body and upon the world in which we dwell. Lee Kiyoung’s works are created in
the dialectical process, and, much like how several discontinuous planes exist
in the surface, they point to us that final absence is at once presence, and
disappearance is at once generation. That this is the very principle of life is
what Lee’s artworks seem to say.
Sola Jung
Sola Jung, Direcotr of curatorial bureau, SeMA
이기영 Lee Kiyoung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동 대학원 졸업
現,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대학 동양화 전공 교수
SOLO Exhibition (selected)
2025 밝은 곳에 서있다, 갤러리밈, 서울
2023 두번째 답변, 이화익갤러리, 서울
2022 지우고 채우고, 파내어 설치한 덫, 갤러리밈, 서울
2019 이기영 개인전, ANA갤러리, 서울 2018 LEE KIYOUNG WORKS
2018 이화익갤러리, 서울
2017 White Forest, 갤러리밈, 서울
2016 지우고 지우다, 갤러리 플래닛, 서울
2014 이기영展, 갤러리 플래닛, 서울
2011 MAD Museum of Art & Design, 싱가폴
2010 Zone Contemporary Art, 뉴욕 2006 갤러리 21+Yo, 도쿄
2004 이기영 展, 금산갤러리, 서울
GROUP Exhibition (selected)
2021 이화익갤러리 20주년 기념 전시, 이화익갤러리, 서울
2017 보통만큼의 빛과 공기, 예술의 기쁨, 김세중미술관, 서울
2015 세븐 사인즈, 박수근미술관, 강원
2010 Diversity at play, Museum of Art & Design, 싱가폴
2008 이기영, 이수경 2인전, 이화익갤러리, 서울
2003 동양화 Paradiso, 포스코 미술관, 서울
2002 한국현대미술 중남미 4개국 순방전, 에콰도르/페루/아르헨티나/멕시코
Today's Korean painting, CASO, 일본
2000 젊은 모색 2000, 국립현대 미술관, 과천
Collections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서울시립미술관, 경기도립미술관, 과천 국립현대미술관, 이스라엘 주재 한국대사관, 핀란드 주재 한국 대사관, 이화재단, 경기문화재단, 법무법인 태평양 외 다수 작품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