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 준비 중입니다.
시시·미미
Yoon Dongchun
M’VOID is a program that plans and presents exhibitions of leading artists at home and abroad who question contemporary aesthetic values while strengthening their works with insights.
ABOUT
* 본 전시는 5층 → 6층 → 4층 → 3층 순으로 관람해 주시기 바랍니다.
6F Gallery 시시한 오브제
5F Gallery 익숙한 문구들
4F Gallery 시시한 풍경 연작
3F Gallery 시시한 대상으로부터
작가노트
시시•미미(微微) 전시에 부쳐
이 전시는 대단하고 멋진 것이 아니라, 시시하고 미미한 것에 대한 관심으로 비롯되었습니다.
이는 주제, 소재, 작업 방식(형식) 모두를 아우릅니다.
현실에서는 다소 영향력을 갖지만 미술로 표현하기에 적합지 않거나,
미술사적으로는 중요하지만 일반에게는 큰 의미를 갖지 못하는 내용이거나,
전반적으로 시각적으로나 의미로나 크게 볼품없다고 여겨지는 것들에 대한 환기와 주목입니다.
하지만 의외로, 그리고 당연히, 소중합니다.
과장되게 표현하면 늘 변혁의 시발점이었습니다.
평론 글
윤동천의 시시·미미
윤동천은 이번 전시에서 제목이 이야기하듯 ‘시시하고 미미한 것’들을 전시장으로 데려온다. 어떻게 시시하고 미미한 것들이 ‘미술’과 함께 있을 수 있을까. 그는 그만의 독자적인 어법을 이번 전시에서도 펼쳐놓는다. 이 펼쳐놓음의 기술(技術)은 미술하기의 원초적인 즐거움을 얼마만큼 현실 안팎에서 허용할 수 있는가의 문제를 데리고 논다. 미술이 다루기엔 너무 시시한 사물들을 대상으로 하는 하지만, 그가 촬영한 사진들의 구도와 형식, 표면의 질감을 보면 동서양 미술사의 오랜 작업들이 탐구해온 시각과 재현, 구상과 추상의 문제가 녹아있다는 생각이 든다.
‘시시 미미’를 발음할 때 느낄 수 있는 모국어의 리듬감은 신선하다. 이번 전시는 변주와 변형의 놀이에서 출발하는 듯보인다. 그 귀착점이 어디인지는 작가가 보여주는 색과 형태, 시각적이고 의미를 지닌 것들의 수집과 발견을 따라가보는 데서 각자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윤동천이 명명한 ‘시시한 것들’은 그가 목격한 것들이다. 또 이 ‘미미한 것들’은 그가 추상 회화 작업인 <단순연작>와 <덩이>들로 나아가게 하는 구체적 모티브가 된다. 어린아이의 놀이같기도 하고 철학적인 의제같기도 한 단어의 조합은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의 다양한 측면과 유사하다. 그는 이렇게 서로 다른 것들의(미술=현실, 미술/현실) 조합을 통해 한국의 정신사적인 리얼리티를 눈앞에 마주하게 한다.
자, 전시장을 보자. 전시장의 각 층층은 윤동천의 미술관이며 동시에 한국의 현대사를 문맥화하는 시각적인 생활 박물관이다. 5층에 있는 ‘익숙한 문구들’ 연작을 보자. 합판에 레이저로 제시된 문구들에서 구체성과 보편성을 띠는 언어들의 합주를 볼 수 있다. 인생에 대한 처절한 경험 없이는 도달할 수 없는 구체성을 띠는 ‘생활’ 언어들이 인생의 쓴맛 단맛 짙은 맛을 알려준다. 전시장 통로의 벽면에 위치한 <기념일>(2005)은 어떤가. 종이 위에 잉크로 새겨진 이 작은 날짜들은 윤동천이 기억하는 한국 현대사의 ‘기념일’이다. 어린시절부터 성인이 될 때까지 그에게 파노라마처럼 펼쳐졌을 사건들이 작은 글자들로 낱장의 얇은 종이 위에 남겨져 있다. 이것은 일종의 ‘카운터 모뉴먼트(counter monument : 반기념비)’로서, 기념비의 육중함에 반대하는 또 다른 형식의 ‘기억 작업’이다. 작가는 이렇게 한국 현대사가 거대하게 기억해온 시간성을 윤동천 개인의 감각으로 뒤집는다. 이때 개인은, 작가가 오랜 시간 이야기해왔듯 공공적 실천과 집단의 무의식을 외면하지 않는 개인이다.
윤동천의 미술은 그러므로 풍자가 아니라 다른 방식의 기억이다. 또 이것은 미술과 현실의 질긴 관계를 그의 식으로 말하는 행위다. 6층에 자리한 <시시한 오브제> 연작에서 작가는 현실의 사물에 깃든 관습을 현실의 지리멸렬한 통념들과 맞부딪히게 한다. 빗자루, 펜, 요강, 톱에 이르기까지, 작가는 일상에서 언제나 주변부의 자리를 차지하거나 ‘이것이 거기 있다’는 식의 존재하는 것조차 알아차리기 힘든 미약한 사물들을 예의 주시하게 만든다. 윤동천이 붙인 작업의 제목은 작업의 일부가 되어, 관객과 작업이 만나는 시간과 공간을 확장시킨다. 그래서 우리 관객들은 이 작업들의 말걸기를 외면할 수 없다.
그것은 작가의 내면 세계나 미술 내부의 암묵적 합의가 붙인 제목과 달리, 누구나 사용할 수 있고 누구나 만질 수 있는 것들(껌, 물병, 달걀)의 ‘다른 차원’을 열어두는 제목들이다. 예로 플라스틱 물병이 종이처럼 구겨져 있는 <100도씨의 힘>, 접시위에 씹던 껌을 만든 <스트레스를_씹다>를 보라. <입사지원서를 쓸 때마다 새 펜으로 서명하기로 마음먹었다>(2025) 앞에서 펜 100자루를 세어보며 하나씩 펜이 사라지는 장면을 상상하게 된다. <포획 포식 피식>(2025)이라는 제목을 지닌 쇠봉과 거미줄을 재료로 하는 작업 앞에서 미술사에 길이 남을 마르셀 뒤샹의 ‘큰 유리’가 떠올랐고 이와 동시에 어쩌면 거미가 여기 어딘가 실재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공존하기 어려운 전시장 안의 ‘현실’이었다.
실로 전시장에는 작가가 아세테이프위에 아클릴릭으로 만든 거미 한 마리가 있다. 흰 벽에 붙어있지 않고 수직으로 서 있는 이 <거미>(2025)는 전시장에 있는 작업들의 ‘현재 위치’를 다시 한 번 쭉 살펴보게 했다. <뭉크 ‘절규’의 새 버전>으로 이름 붙은 작업에서 소리 내는 닭 인형이 살짝 천정을 보고 세워져 있는 것을 보았는지? 작가 윤동천이 세밀하게 관찰하고 시각적 리듬과 모양에 주목하여 대상의 시선을 배치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작가는 언제나 현실을 주도면밀하게 ‘보는 사람’으로서, 풍경들을 관찰한다. 두 개의 사진을 배치하는 <시시한 풍경> 연작과 캔버스에 아크릴릭으로 그린 <시시한 대상으로부터> 회화 연작은 모두, 그가 이 현실에서 얼마나 철저하게 ‘보는 사람’으로 복무하는지 보여준다. 그런 점에서 내가 생각하는 그의 독자성은 ‘예술의 일상성’과 비판성이 한 자리에 공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의 미술은 쉬운데 어렵고, 어려운데 쉽다. 이 무슨 형용 모순인가? 그러나 그래서 그의 미술하기는 작가가 세운 질서와 외부의 현실 세계가 함께 있다(공존한다). 현실에서 발견한 사물과 풍경의 일부는, 그가 그린 <잔설>과 <큰 주걱>처럼, 온전하지는 않지만 부분으로서 우리 곁에 있고 그래서, 예측불가능하게 아름답다.
현시원 (미술비평·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교수)
Yoon Dongchun : Trivial·Subtle
In this exhibition, Yoon Dongchun brings
into the gallery what the title itself suggests—“trivial and subtle things.”
But how can such small, seemingly insignificant things coexist with “art”? Once
again, Yoon unfolds his own distinctive artistic idiom. His art of “laying
things out” poses a question: to what extent can the primal joy of making art
be permitted—both within and beyond reality? Although his chosen subjects may
seem too mundane for art to handle, the compositions, forms, and surface
textures of his photographs evoke a lineage of artistic inquiries from both
East and West—about vision and representation, figuration and abstraction.
The Korean title “Sisi Mimi” (meaning “Trivial·Subtle”) carries a fresh, rhythmic resonance. The exhibition seems to begin as a play of variation and transformation. Where it ultimately leads will be discovered individually by each viewer, as one follows the presentation of colors and forms, and the acts of collecting and recontextualizing objects charged with visual and semantic meaning. The “trivial things” he names are those he has witnessed. The “subtle things” serve as concrete motifs that lead him toward his abstract painting series, <Simple Shape> and <Lump>. The interplay of words, oscillating between the innocence of a child’s play and the depth of a philosophical discourse, mirrors the diverse aspects of the reality we live in. Through this combination of seemingly disparate realms (art = reality, art / reality), Yoon confronts us with a form of Korean spiritual-historical reality.
Now, let’s step into the exhibition space.
Each floor serves as both Yoon Dongchun’s personal museum and a visual
ethnography of contemporary Korean history. On the fifth floor, the series <Familiar
Phrases> presents laser-engraved text on plywood, forming a polyphony of
language that is at once concrete and universal. These “everyday” expressions,
infused with the raw texture of lived experience, reveal life’s bitter, sweet,
and complex flavors. On a corridor wall hangs <Anniversary> (2025)—a
work in which dates printed in ink on paper record moments from Korea’s modern
history as Yoon remembers them. The thin sheet of paper, inscribed with small
letters, unfolds like a personal panorama of events from his childhood to
adulthood. The work functions as a “counter-monument”: a mode of
remembrance that resists the heavy permanence of a monument. By reframing
historical time through his individual sensibility, Yoon inverts the grand
temporality of Korean modern history. The “individual” here—consistent with his
long-held stance—never turns away from collective consciousness or public
engagement.
Yoon’s art, therefore, is not satire but an
alternative form of remembrance. It is his way of articulating the tenacious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reality. In the <Trivial Objects>
series on the sixth floor, he confronts the conventions embedded in everyday
things with the fragmented common sense of our reality. Brooms, pens, chamber
pots, saws—these humble objects, often relegated to the periphery of daily
life, become subjects of attentive observation. Their very titles, integral to
each work, extend the temporal and spatial encounter between artwork and
viewer. We, the viewers, cannot easily turn away from their subtle address.
Unlike titles derived from private
symbolism or art’s implicit conventions, Yoon’s titles open up another
dimension of the things anyone might touch or use: gum, a plastic bottle, an
egg. <The Power of 100°C > (2025) presents a crumpled plastic
bottle as if it were paper; in <Chewing_Stress> (2025), a wad of
gum rests neatly on a dish. Standing before <I Decided to Sign Every Job
Application with a New Pen> (2025), we find ourselves counting the
hundred pens lined up, imagining them slowly disappearing one by one. Before <Capture·Consume·Chuckle> (2025), made with an iron rod and spiderwebs, we recall Marcel
Duchamp’s “The Large Glass”—and at the same time, wonder whether a real
spider might be lurking somewhere in the gallery. It is a “reality” that can
hardly coexist with the exhibition space.
Indeed, there is a spider in the
exhibition—an acrylic one painted on acetate tape. Standing upright rather than
clinging to the wall, <Spider> (2025) invites us to reexamine the
“current positions” of all surrounding works. Did you notice that the squeaky
rubber chicken, titled <A New Version of Munch’s “The Scream”>, stands
slightly tilted toward the ceiling? It is a small but eloquent sign of Yoon’s
meticulous attention to visual rhythm, form, and the direction of gaze.
Yoon Dongchun is, above all, a precise
observer of reality. His series of paired photographs, <Trivial
Landscapes>, and acrylic paintings, <From Trivial Subjects>,
both reveal how thoroughly he serves as a “viewer” within this world. The
artist’s originality, I believe, lies in how he allows the everydayness of art
and its critical dimension to coexist. Yoon’s art is easy yet difficult,
difficult yet easy—a paradox, perhaps, but one that perfectly captures how his
practice maintains a fragile balance between the order he constructs and the
external reality it encounters. Like those in <Remaining Snow> (2025)
and <Large Ladle> (2025), fragments of objects and scenery drawn
from the real world may not appear whole, but still remain beside us as partial
presences. In that incompleteness lies a beauty that is, quietly and
unexpectedly, profound.
Hyun Seewon
(Professor, Graduate School of Communication, Yonsei University / Art Critic)
윤동천 Yoon Dongchun
b. 1957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명예교수
1987 크랜브룩 아카데미 오브 아트 졸업
1985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
SOLO Exhibition (selected)
2025 시시·미미, 갤러리밈, 서울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들 _ 진부한 제안, WWNN, 서울
2024 위대한 퍼포먼스, 공간형, 서울
2023 이면, 아트조선스페이스, 서울 (회화, 판화, 드로잉, 설치)
추상에 관하여, 갤러리밈, 서울
2022 쌍-댓구, 갤러리 시몬, 서울 (회화, 설치, 영상)
산만의 궤적, 서울대학교미술관, 서울
2017 일상_의, 금호미술관, 서울 (회화, 설치, 영상)
2014 병치-그늘, 신세계갤러리, 서울 (드로잉, 판화, 설치)
2013 Simple Edge, EN갤러리, 나가노, 일본 (회화, 판화, 드로잉)
2012 도구들, 갤러리호무라, 삿포로, 일본 (설치, 판화)
2011 탁류, OCI미술관, 서울 (회화, 설치, 판화)
2007 망루, 금호미술관, 서울 (회화, 드로잉, 사진, 설치)
2005 조건부 무작위, 와이트월갤러리, 서울 (회화, 설치, 드로잉)
2003 오랫동안 메마른 강바닥, Temporary Space, 삿포로, 일본 (설치, 드로잉)
2001 뻔한, Allcott 갤러리, 채플힐, 미국 (사진, 설치)
1999 차이, 성곡미술관, 서울 (회화, 설치, 영상)
1998 그림-문자-공공, 일민미술관, 서울 (설치)
1995 만화경: 의미 있는 사물들, 국제갤러리, 서울 (설치)
1992 다른 양식들, 샘화랑, 서울 (회화)
생각하는 그림, 갤러리인데코, 서울 (설치)
제 11회 석남미술상 수상 기념전, 박여숙화랑, 서울 (회화, 사진)
1991 평론가가 선정한 ‘90년대 전망전, 가나화랑, 서울 (회화)
윤동천, 판화, 최갤러리, 서울 (판화)
1989 희망의 나라로, 나우갤러리, 서울 (설치)
1988 윤동천, 갤러리현대, 서울 (회화, 설치, 판화)
GROUP Exhibition (selected)
2025 Plate On/Off, 답십리 아트랩, 서울
선농미술전, 갤러리라메르, 서울
도시의 몽상, Soluna Fine Art, 홍콩
우리들의 낙원, 문화역서울284, 서울
묵운동휘(墨韵同辉), 허베이 미술대학, 중국
검은 악몽의 집단치료, 플레이스막3, 서울
한국현대미술 하이라이트,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2024 this is today, 공간형, 서울
우리가, 바다, 경기도미술관, 안산
모호한 경계, 필갤러리, 서울
소장품전, 서울대학교미술관, 서울
2023 선농미술전, 갤러리라메르, 서울
No Frame, 성신여자대학교 수정관 가온 전시실, 서울
2022 백남준 효과,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긴 호흡, 토포하우스, 서울
선농미술전, 갤러리라메르, 서울
오후 6시는 무슨 색일까?, 베카갤러리, 서울
2021 공(空), 서소문성지 역사박물관, 서울
NFT BEGINS, 사이아트센터, 서울
선농미술전, 갤러리라메르, 서울
포스트프린트 2021, 김희수아트센터, 서울
2020 1+1=0, 갤러리 로직, 서울
한국의 현대판화, 오리엔탈미술관, 모스크바 / 사마라주미술관, 사마라 / 러시아
금호미술관 소장품전, 금호미술관, 서울
판화, 판화, 판화,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Collections
뉴욕 공공 도서관 (뉴욕, 뉴욕주, 미국), 프레스노 예술센터 및 박물관 (프레스노, 캘리포니아주, 미국), 곤자가대학교 (스포케인, 워싱톤주, 미국),
미시간 아트레인 (앤 아버, 미시건주, 미국), 팔로 알토 시회 (팔로 알토, 캘리포니아주,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 (롱비치, 캘리포니아주, 미국),
그린넬대학교 (그린넬, 아이오아주, 미국), 대영박물관 (런던, 영국), 뉴올리언스박물관 (뉴올리언스, 루이지아나주, 미국),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토탈미술관 (서울), 일민미술관 (서울), 성곡미술관 (서울), 신세계미술관 (서울),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금호미술관 (서울), 진천군립생거판화미술관 (진천), OCI미술관 (서울), 양구군립박수근미술관 (양구), 서울대학교미술관 (서울)
Awards
2023 제35회 이중섭 미술상 수상
1992 제 4회 국제 아시아 유럽 비엔날레 금상
1992 제 11회 석남미술상
1991 제 1회 토탈미술상 관장상
Yoon Dongchun
b.1957
Professor Emeriti, Department of Painting, College of Fine Arts, Seoul National University
1987 Cranbrook Academy of Art (MFA)
1985 Seoul National University (BFA)
SOLO Exhibitions
2025 Trivial·Subtle, GalleryMEME, Seoul
What We Need Now, WWNN, Seoul
2024 Great Performance, Artspace Hyeong, Seoul
2023 The Other Side, Art Chosun Space, Seoul
about ABSTRACTION, GalleryMEME, Seoul
2022 Pairs, Gallery Simon, Seoul
Trail of Diverg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Museum of Art
2017 Ordinary, Kumho Museum of Art, Seoul
2014 Juxtaposition-Shade, Shinsegae Gallery, Seoul
2013 Simple Edge, EN Gallery, Nagano, Japan
2012 Tools, Gallery Homura, Sapporo, Japan
2011 Muddy Stream, OCI Museum of Art, Seoul
2007 Watchtower, Kumho Museum of Art, Seoul
2005 Conditional Randomness, White Wall Gallery, Seoul
2003 For a Longtime Arid Riverbed, Temporary Space, Sapporo, Japan
2001 Too Obvious, Allcott Gallery, Chapel Hill, USA
1999 Difference, Sungkok Art Museum, Seoul
1998 Power, Ilmin Museum of Art, Seoul
1995 Kaleidoscope: Meaningful Objects, Kukje Gallery, Seoul
1992 Different Styles, Gallery Sam, Seoul
Art for Thinking, Gallery Indeco, Seoul
The 11th Seoknam Art Prize, Park Ryu Sook Art Gallery, Seoul
1991 Critics' Choice of '90s Perspective, Gana Art Gallery, Seoul
Yoon Dongchun, Printmaking, Choi Gallery, Seoul
1989 Toward Land of Hope , Gallery Now, Seoul
1988 Yoon Dongchun, Gallery Hyundai, Seoul
GROUP Exhibitions (selected)
2025 Plate On/Off, Dapsimni Art Lab, Seoul
The Sunnong Artists Circle 2025, Gallery La Mer, Seoul
Urban Reveries, Soluna Fine Art, Hong Kong
Our Enchanting Paradise, Culture Station Seoul 284, Seoul
Ink Resonance, Shining Together, Hebei Academy of Fine Arts, China
Attitudes towards Contemporary Printmedia, Placemak 3, Seoul
Highlights of Korean Contemporary Art,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2024 this is today, Artspace Hyeong
Memory, Stare, Wish,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Ansan
Ambiguous Boundary, Fill Gallery, Seoul
Collec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Museum of Art, Seoul
2023 The Sunnong Artists Circle 2023, Gallery La Mer, Seoul
No Frame,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2022 Paik Nam June Effect, MMCA, Gwacheon
Long Breathing, Topohaus, Seoul
The Sunnong Artists Circle 2022, Gallery La Mer, Seoul
What Color Is 6 PM ?, Beka Gallery, Seoul
2021 Emptiness, Seosomun Shrine History Museum, Seoul
NFT BEGINS, Cyart Center, Seoul
The Sunnong Artists Circle 2021, Gallery La Mer, Seoul
Post-Prints 2021, Soorim Art Center, Seoul
2020 1+1=0, Gallery Logic, Seoul
The Sunnong Artists Circle 2020, Gallery La Mer, Seoul
Modern Graphics of South Korea, State Museum of Oriental Art, Moscow / State Art Museum in Samara, samara / Russia
Kumho Collections, Kumho Museum of Art, Seoul
Prints, Printmaking, Graphic Art, MMCA, Gwacheon
Collections
The New York Public Library (New York, NY, USA), Fresno Art Center And Museum (Fresno, CA, USA), Gonzaga University (Spokane, WA, USA),
Michigan Artrain (Ann Arbor, MI, USA), City of Palo Alto (Palo Alto, CA, USA), State University of California (Long Beach, CA, USA),
Grinnell College (Grinnell, IA, USA), British Museum (London, England), The New Orleans Museum of Art (New Orleans, LA, USA),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Seoul), Seoul Museum of Art (Seoul), Ilmin Museum of Art (Seoul),
Sungkok Art Museum (Seoul), Shinsegae Museum (Seoul),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_Korea (Seoul),
Kumho Museum of Art (Seoul), Jincheon Printmaking Museum (Jincheon), OCI Museum of Art (Seoul),
Park Soo Keun Museum (Yanggu), Seoul National University Museum of Art (Seoul)
Awards
2023 35th Lee Joong Seop Art Awards (Seoul)
1992 International Asia-Europe Biennale (Gold Prize) (Ankara, Turkey)
The 11th Seoknam Art and Cultural Foundation Award (Seoul)
1991 Total Grand Prix (President Award) (Seoul)






































